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] 가입조건·신청기간·신청방법 5분 정리

by 머니네비 2025. 7. 11.
반응형

1. 청년도약계좌란?

  • 청년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부정책형 금융상품으로, 만 19~34세 청년이 5년간(60개월) 매달 자유롭게 저축하면, 정부가 월 최대 33,000원까지 기여하고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  • 월 납입액은 1천원~70만원, 은행에 따라 금리는 3년 고정 이후 2년 변동형 구조입니다.

2. 가입 대상(조건)

✅ 연령 요건

  • 가입일 기준 19~34세 이하
  • 병역 의무 이행 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됩니다.

✅ 소득 요건

  • 개인소득: 직전 과세연도 총급여 ≤ 75백만원 또는 종합소득 ≤ 63백만원
  • 가구소득: 중위소득 250% 이하
  •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할 수 없으며, 가입 후 추가 대상자가 될 시 납입이 중지됩니다.

3. 신청 기간 & 계좌 개설

✔ 정기 신청

  • 매월 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만 가능하며, 지정된 영업일 오전 9시~오후 6:30 사이만 신청됩니다.

✔ 신청-개설 흐름

  1. 신청 기간 내 은행 앱에서 가입 신청
  2. 서민금융진흥원 약 2주 심사 후 적격 여부 통보
  3. 익월 초 은행 앱에서 계좌 개설 가능
    •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 개설 일정은 별도 운영됩니다.

✔ 2025년 예시

  • 6월 신청: 6/26/13 신청, 6/197/11 계좌 개설(1인), 6/30~7/11(2인 이상)
  • 7월 신청: 7/17/11 신청, 7/178/8 개설(1인), 7/28~8/8(2인 이상)

4. 정부기여금·중도해지·비과세 혜택

💸 정부기여금 구조

  • 개인소득 구간에 따라 매월 납입액 기준 최대 33,000원 지급
    • 소득 ≤ 24백만원: 6% (월 납입액 ≤ 400천원 기준)
    • 소득 ≤ 36백만원: 4.6% (월 ≤ 500천원)
    • 소득 ≤ 48백만원: 3.7% (월 ≤ 600천원)
    • 소득 ≤ 60백만원: 3% (월 ≤ 700천원)
  • 소득 ≤ 60백만원인 경우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.
  • 소득 60~75백만원 구간에선 정부기여금은 없지만 비과세만 적용됩니다.

🏦 비과세 혜택

  • 적금 이자소득에서 15.4% 세금이 면제됩니다.

🔄 중도해지 제도

  • 특별중도해지 사유(사망, 퇴직, 혼인, 출산 등) 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유지
  •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 시 60% 지급, 5년 만기 유지 시 100% 지급됩니다.

5. 일시납입 (청년희망적금 연계)

  •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해당 지급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수 있으며,
  • 최대 1,680만원 내로 제한되고 기간내 신청 필요하며, 일시납입 후 자율납입은 중지됩니다.

6. 만기 수령 예상

  • 월 700천원 5년 납입 시 약 50백만원 수령 예상
  • 일시납입 포함 시 최대 50.56백만원 (수익 8.56백만원) 가능합니다.

7. 가입 절차 요약

  1. 가입 대상 확인 (연령·소득·가구 조건 및 비과세 요건 충족)
  2. 은행 앱에서 가입 신청 (영업일 오전 9시~오후 6:30)
  3. 약 2주 심사 후 개설 안내 및 계좌 개설
  4. 매월 자동 상환 또는 일시납입 방식 선택
  5. 만기 또는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 및 이자 수령

8. 주의사항 & 팁

  • 1인 1계좌만 가능,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겸용 불가
  •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발견 시 납입 중단됨
  • 가구원 동의 및 행정자료 확인은 비대면 처리
  • 중도해지 계획 시 요건 확인 필수
  • 일시납입 시 기간 내 반드시 신청해야 혜택 유지

🔚 핵심 요약표

항목내용
연령 19~34세(병역 제외 가능)
소득 총급여 ≤ 75백만원 & 가구소득 중위 250% 이내
납입 기간 최대 60개월, 1천~70만원 자유저축
정부기여금 월 최대 33,000원
비과세 이자소득 비과세
중도해지 혜택 특별사유는 100%, 3년 후 60% 유지
신청 방식 은행 앱 비대면
 
반응형